대구시 '노곡동 침수 논란' "반복된 인재, 대형 빗물터널" 등 근본 대책 촉구 > 대구

사이트 내 전체검색
 

대구

대구시 '노곡동 침수 논란' "반복된 인재, 대형 빗물터널" 등 근본 대책 촉구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작성일 25-07-24

본문

대구안실련 “제진기 미작동 반복, 관리 부실 철저히 규명해야”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지난 17일 발생한 침수 피해와 관련해 시민단체가 부실한 배수시설 관리와 재난 대비 부족을 지적하며 시민들로 부터 안전불감증을 초래 하는등 논란이 가속화 되고 있다.


대구안실련은 21일 성명서를 통해 “노곡동 일대 침수는 예고된 인재”라며 “2010년에도 같은 문제로 침수피해가 발생했는데, 당시와 동일하게 제진기(배수구 쓰레기 거름장치) 미작동으로 배수가 막혔다”고 대구시를 향해 비판했다.


이번 침수로 주택·상가 20곳과 차량 40대가 피해를 입고, 26명의 주민이 구조 보트를 이용해 긴급 대피했으며,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그러나 시민단체는 “충분히 예방 가능한 사고였다는 점에서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제의 제진기는 나뭇가지 등 이물질에 의해 막혔으며, 함지산 산불 잔해물의 유입 가능성까지 제기됐으며 이는 사전 점검과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는 지적이다.


과거 피해 재발 방지 차원에서 설치된 고지배수터널(700m, 지름 3m)도 이번 사고 때 무용지물이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해당 터널은 지난 2013년 준공돼 초당 14t의 물을 금호강으로 흘려보내는 시설이지만, 이번 집중호우에는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


대구안실련은 “98억 원이 투입된 고지배수터널의 타당성부터 철저히 재검토해야 하며, 서울·부산 등지에서 운영 중인 대형 빗물터널 또는 대심도 배수로 설치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사고가 발생한 시점의 강우량은 시간당 59.5mm로, 대구시 배수펌프 인프라의 대응 한계를 그대로 드러냈다.

cf6a92704d612092c89ff1185329bccd_1753324426_7642.jpg
현재 대구시에 설치된 배수펌프장(2025년 4월9일 기준)은 총 22곳으로 분당 3만7천948t을 배수할 수 있다. 


그러나 그중 9곳은 40년 이상 된 노후 시설이며, 10년 빈도 강우(시간당 54.1mm)까지밖에 감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됐다.


특히 20년 빈도(시간당 61.1mm) 대응 가능 시설은 4곳, 30년 빈도(65.2mm)는 7곳, 50년 빈도(70.2mm)는 다사 서재와 구지 국가산단 등 단 2곳뿐이라며,이에 대해 시민단체는 “현 배수 인프라로는 기상이변에 전혀 대응이 불가능한 구조”라고 비판했다.


또한 관경이 좁은 하수관로는 배수펌프에서 처리된 물조차 하천으로 흘려보내지 못하고 역류를 유발해, 도심 침수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현재 서울·부산 등은 도심 지하 깊숙한 곳에 빗물을 일시 저장하거나 배출하는 대형 터널인 ‘빗물터널’을 운영하고 있으나, 대구에는 단 한 곳도 설치돼 있지 않다고 전했다.


대구안실련은 '침수 사고 원인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 및 책임자 문책'과 '배수펌프·제진기 등 전 시설 전수 점검 및 정기관리 체계화', '대형 빗물터널 및 대심도 배수로 조속한 설치와 도시계획 반영'을 촉구했다.


이어 '소구경 하수관로 및 노후 옹벽 등 침수 취약지 전면 개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도심방재 종합계획 수립과 정부 예산 지원' 사항을 대구시와 정부에 강력히 요구했다.


시민 L모씨는 "매번 일어나는 상습 침수구역에 대해 아직도 배수시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침수되어 주민들이 많은 안전불감증과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라며 전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노곡동침수조사단"을 통해 피해 상황을 조사하는 과정이라며 아직 피해 사실 결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한편 안실련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반복되는 인재를 막기 위한 실효성 있는 수해 대응체계가 반드시 마련돼야 하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지방정부의 최우선 과제이다고" 밝혔다.

조영준 기자(jebo777@hanamil.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뉴스윈 미디어/ 대구시 수성구 지산동 1188 3F    대표전화 : 1600-3645/ 등록번호: 대구 아00267
   구미본부: 구미시 송정동 462-4 2F    구독료/후원/자유결제 3333-18-4967987 카카오뱅크    발행인: 조영준 본부장/ 편집위원장: 장종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조준제
광고/제보 이메일 : jebo777@hanmail.net
Copyright © www.NEWSWiN.net. All rights reserved.